웹 접근성 정책

모든 사용자를 위한 포용적인 디지털 경험

최종 업데이트: 2025년 7월 1일

1 웹 접근성이란?

junetapa는 장애인, 고령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정보와 기능을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웹 접근성의 핵심이라고 믿습니다. 우리는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(WCAG) 2.1 AA 수준을 목표로 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.

🎯 우리의 접근성 철학

"기술은 모든 사람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"
인식의 용이성, 운용의 용이성, 이해의 용이성, 견고성이라는 4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포용적인 웹 환경을 만들어갑니다.

👁️

시각 장애 지원

스크린 리더 최적화, 고대비 모드, 확대 기능 등을 통해 시각 장애 사용자의 웹 접근을 지원합니다.

⌨️

운동 장애 지원

키보드만으로도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, 충분한 크기의 터치 영역을 제공합니다.

🧠

인지 장애 지원

명확한 구조, 일관된 내비게이션,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하여 인지 부담을 최소화합니다.

👂

청각 장애 지원

동영상 자막 제공, 시각적 알림, 텍스트 기반 정보 전달을 통해 청각 장애 사용자를 지원합니다.

2 키보드 내비게이션

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나 키보드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해 모든 기능을 키보드만으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했습니다.

⌨️ 주요 키보드 단축키
  • Tab 키: 다음 링크나 버튼으로 이동
  • Shift + Tab: 이전 링크나 버튼으로 이동
  • Enter / Space: 링크 활성화 및 버튼 실행
  • 방향키 (↑↓←→): 메뉴, 탭, 슬라이더 등의 내비게이션
  • Esc: 모달 창이나 드롭다운 메뉴 닫기
  • Alt + Home/End: 페이지 상단/하단으로 빠른 이동

포커스 관리:

  • 모든 상호작용 요소에 명확한 포커스 표시를 제공합니다
  • 논리적인 순서로 포커스가 이동하도록 구현했습니다
  • 모달 창 열림 시 포커스가 적절히 이동하고 트랩됩니다
  • 페이지 로드 시 메인 콘텐츠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건너뛰기 링크를 제공합니다

3 스크린 리더 완벽 지원

시각 장애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크린 리더 소프트웨어와의 완벽한 호환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들을 적용했습니다.

🔊 지원되는 스크린 리더
  • NVDA: Windows용 무료 스크린 리더
  • JAWS: Windows용 상용 스크린 리더
  • VoiceOver: macOS/iOS 내장 스크린 리더
  • TalkBack: Android 내장 스크린 리더
  • Orca: Linux용 오픈소스 스크린 리더

스크린 리더 최적화 기능:

  • 의미 있는 대체 텍스트: 모든 이미지에 내용을 정확히 전달하는 alt 속성 제공
  • 구조화된 제목: h1~h6 태그를 활용한 명확한 문서 구조
  • ARIA 속성: 복잡한 UI 요소에 적절한 역할(role)과 상태 정보 제공
  • 명확한 링크 설명: "여기를 클릭" 대신 목적지를 명확히 설명하는 링크 텍스트
  • 폼 레이블: 모든 입력 필드에 명확한 레이블과 설명 제공
  • 랜드마크 영역: 헤더, 내비게이션, 메인, 푸터 등 영역 구분
🧪 정기적인 테스트

매월 실제 스크린 리더 사용자와 함께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여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.

4 시각적 접근성 지원

다양한 시각적 요구사항과 환경에 맞춰 모든 사용자가 콘텐츠를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각적 옵션을 제공합니다.

🌈

색상 접근성

WCAG AA 기준 이상의 4.5:1 명도 대비를 유지하며, 색상에만 의존하지 않는 정보 전달 방식을 사용합니다.

🔍

확대 기능

200%까지 확대 시에도 모든 기능이 정상 작동하며, 가로 스크롤 없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🌙

다크 모드

시스템 설정을 자동 감지하여 다크 모드를 제공하며, 눈의 피로를 줄이고 야간 사용성을 향상시킵니다.

고대비 모드

저시력 사용자를 위한 고대비 모드를 지원하며, 운영체제의 고대비 설정을 자동으로 감지합니다.

👁️ 시각적 배려 사항
  • 깜빡임 제한: 초당 3회 이상 깜빡이는 콘텐츠를 금지하여 광과민성 발작을 예방
  • 충분한 여백: 요소 간 적절한 간격을 두어 시각적 혼란 최소화
  • 명확한 경계: 버튼과 링크 등의 클릭 영역을 명확히 표시
  • 읽기 모드: 산만한 요소를 제거한 깔끔한 읽기 환경 제공

5 모바일 접근성

모바일 기기에서도 데스크톱과 동일한 수준의 접근성을 제공하여,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모바일 최적화 기능:

  • 터치 영역 최적화: 최소 44×44픽셀 크기의 터치 타겟을 보장하여 정확한 조작이 가능합니다
  • 제스처 지원: 스와이프, 핀치 줌 등 직관적인 터치 제스처를 지원합니다
  • 화면 회전 대응: 세로/가로 모드 전환 시에도 레이아웃과 기능이 완벽하게 유지됩니다
  • 모바일 스크린 리더: VoiceOver(iOS), TalkBack(Android)과의 완벽한 호환성
  • 음성 제어: iOS의 음성 제어, Android의 음성 액세스 기능과 호환됩니다
📱 반응형 접근성

화면 크기에 관계없이 동일한 접근성 기능을 제공하며, 터치 기반 인터랙션과 키보드 기반 인터랙션 모두를 완벽하게 지원합니다.

6 언어 및 콘텐츠 접근성

다양한 언어적 배경과 인지 능력을 가진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합니다.

언어적 배려:

  • 명확한 언어: 복잡한 전문 용어 대신 이해하기 쉬운 일상 언어를 사용합니다
  • 용어 설명: 불가피한 기술 용어에는 풍선 도움말이나 링크를 통한 설명을 제공합니다
  • 적절한 문장 길이: 한 문장이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적절히 나누어 가독성을 높입니다
  • 언어 속성 명시: HTML lang 속성을 정확히 명시하여 스크린 리더의 정확한 발음을 지원합니다
🌍 다국어 계획

현재는 한국어로 제공되지만, 향후 영어, 일본어 등 다국어 지원을 계획하고 있으며, 번역 도구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구조화된 HTML을 사용합니다.

콘텐츠 구조화:

  • 명확한 제목 계층구조를 통한 정보 분류
  • 요약-상세 구조를 활용한 단계적 정보 제공
  • 목록과 표를 활용한 체계적인 정보 정리
  • 중요한 정보는 강조 표시를 통해 우선순위 명확화

7 인지적 접근성 배려

학습 장애, 주의력 장애, 기억력 장애 등 다양한 인지적 어려움을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특별한 배려를 제공합니다.

🗺️

일관된 내비게이션

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한 위치에 내비게이션을 배치하여 예측 가능한 구조를 제공합니다.

💡

명확한 피드백

사용자 행동에 대한 즉각적이고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혼란을 최소화합니다.

🚨

오류 방지

사용자 실수를 방지하는 설계와 함께, 오류 발생 시 명확한 해결 방법을 제시합니다.

충분한 시간

자동 새로고침이나 타이머는 사용하지 않으며, 필요한 경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합니다.

🧘 집중력 지원
  • 산만함 최소화: 불필요한 애니메이션이나 깜빡임을 제거하여 집중력 향상
  • 단계별 안내: 복잡한 과정은 단계별로 나누어 제시
  • 진행 상황 표시: 현재 위치와 남은 단계를 명확히 표시
  • 저장 기능: 중간 저장을 통해 작업 연속성 보장

8 지속적인 테스트와 검증

접근성은 일회성 작업이 아닌 지속적인 과정입니다. 다양한 방법으로 정기적인 검증을 실시하여 높은 접근성 수준을 유지합니다.

🔧 사용하는 도구
  • WAVE: 웹 접근성 평가 도구로 실시간 접근성 문제 감지
  • axe-core: 자동화된 접근성 테스트 라이브러리
  • Lighthouse: Google의 종합적인 웹 품질 측정 도구
  • Pa11y: 명령줄 기반 접근성 테스트 도구
  • Colour Contrast Analyser: 색상 대비 검사 도구

테스트 프로세스:

  • 자동화 테스트: 매일 밤 자동으로 접근성 검사를 실행하여 회귀 방지
  • 수동 테스트: 주간 단위로 실제 사용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수동 검사
  • 사용자 테스트: 월 1회 실제 장애인 사용자와 함께하는 사용성 테스트
  • 전문가 감사: 분기별 외부 접근성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
  • 지속적 개선: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즉각적인 수정 및 개선
📊 성과 측정

접근성 점수, 사용자 만족도, 완료율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접근성 개선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합니다.

접근성 지원 및 문의

웹사이트 이용 중 접근성과 관련된 문제를 발견하시거나 개선 제안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. 모든 피드백은 소중히 검토하여 개선에 반영하겠습니다.

9 지속적인 개선 약속

junetapa는 웹 접근성을 단순한 규정 준수가 아닌, 모든 사용자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기본 가치로 인식합니다.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접근성 기준도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, 우리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겠습니다.

🚀 개선 로드맵
  • 2025년 Q2: 음성 내비게이션 기능 추가 계획
  • 2025년 Q3: AI 기반 이미지 설명 자동 생성 도입
  • 2025년 Q4: 실시간 수어 통역 서비스 연구
  • 2026년: 완전한 다국어 접근성 지원 완성

우리의 지속적인 노력:

  • 최신 표준 준수: WCAG 2.2, 3.0 등 새로운 접근성 표준 연구 및 적용
  • 기술 혁신: AI, VR/AR 등 신기술의 접근성 적용 방안 연구
  • 커뮤니티 참여: 장애인 당사자 단체와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
  • 교육과 확산: 접근성 인식 개선을 위한 콘텐츠 제작 및 공유
  • 오픈소스 기여: 접근성 개선 도구와 라이브러리 개발 및 공유
💝 함께 만들어가는 접근성

접근성은 개발자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완성될 수 없습니다. 사용자 여러분의 소중한 피드백과 제안이 더 나은 웹 환경을 만드는 원동력입니다. 작은 의견이라도 주저하지 마시고 공유해 주세요!